1.배호 연구(裵湖硏究)/배호노래(裵湖歌謠)

[배호 노래] 검은 눈동자 Dark Eyes (외국곡) (새까만 흑진주처럼 타던) *

BaiZZang 2009. 7. 17. 14:21

 

 

 

 

 검은 눈동자 Dark Eyes

 

외국곡 / 전우 번안 / 김희갑 편곡

 

외국곡 / 전우(번안곡) 작사/김희갑 편곡 / 배호 노래 (1969)

 

국내 저작권 등록 안된 노래, 노래방 리스트에 없는 노래

  

영어 제목은 Dark Eyes, 러시아 제목은 Очи чёрные 라고 하며 발음은 Ochi chyornye이다. (러시아 발음 표기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름)

 

러시아의 짚시 노래로서 오리지날 작사가는 Ukrain의 시인(poet) 겸 작가인 Евгений Гребенка (1812—1848) 이다.

러시아 발음은 Yevgeniy Grebyonka으로서 1843.1.17 Literaturnaya Gazeta 라는 러시아 신문에 최초로 시 형태로 발표하였다.

 

그후 Feodor Ivanovich Chaliapin (1873 - 1938)가 이 시를 고쳐서 해외에 발표하여 오리지날보다 길어지고 내용이 변경 되었다.    

 

배호님이 부른 시기에 <검은 눈동자>와 같은 멜로디의 곡으로 안다성님의 <검은 눈동자>노래도 있다.

배호님 노래에 비하여 안다성님의 멜로디는 조금 느리고 반주는 아코디온 반주를 포함하여 배호님의 반주와 매우 흡사하지만 가사는

배호님의 가사와는 다르게 번안이 된 곡이다. 두 곡을 비교해서 들어보는 것도 재미있고 괜찮다.

 

검은 눈동자는 서양보다는 동양인에게 더 많다. 검은 눈동자는 자세히 보면 사실은 가운데 홍채가 갈색의 눈동자이다.

 

"새까만 흑진주 처럼 타던 눈동자...별처럼 반짝이면서 타던 눈동자..."

 

황색인종은 백인보다 멜라닌 색소가 많아서 피부색이 더 진한 것처럼 눈동자의 검은 부분(홍채라고 부름)에도 멜라닌 색소가 많아서 더 짙은 dark eyes 모양을 보인다. 백인은 멜라닌 색소가 적어 파랗고 푸르고...어쩌면 더 멋있게 생각될 런지도 모르지만 나이에 따른 노화가 빠르고 멜라닌에 관계되는 암 종류도 더 많이 생겨서 의학적으로, 건강상 검은 눈동자가 훨씬 유리하다.

 

서양인들은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글라스를 더 많이 착용을 하고 다니는데 나이든 서양인들을 보면 노란색이라던가 갈색이라던가 여러 색깔의 커다란 색안경으로 눈을 감싸고 다니는 분도 더 많이 볼 수 있다. 더러는 눈의 예방 내지 치료 목적으로 착용한다. 

 

우리는 해가 많이 쬐는 날 자외선 차단 선크림만 바르고 다니는 경우는 많지만 아직도 선글라스는 멋부리는 것으로만 생각이 많이 되어 '겸손해 보이려고' 혹은 귀찮아서 인지 착용하지 않거나 양산, 모자 같은 피부와 눈을 보호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는 사람은 적은 데 이는 서양인보다도 우리가 피부와 눈이 더 강하기도 하지만 어느 정도 인식의 부족도 이유가 되는 것 같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 하듯이 검은 눈동자 (홍채부분 해당)와 더불어 눈의 하얀 부분 (결막이라 부름)이 눈처럼 하얀 눈을 보면 마음도 그렇게 깨끗해 보인다. 결막부분이 노랗고 빨간 색은 피곤하거나 건강에 이상이 있어 보이지만 하얀 색은 건강하고 더욱 매력적으로 보인다.

 

요사이는 검은 눈동자를 더 커지게 보이려고 크게 눈동자를 그려 넣은 콘텍트렌즈를 착용하거나 양쪽 눈 사이의 피부를 터서 눈을 더욱 커

보이게하는 여성 분들도 많지만 가끔 부자연스러워 보인다. 또 칼라 콘텍트렌즈의 등장으로 눈동자의 색도 마음대로 바꿔주는 시대 이다.

그렇지만 자연 그대로 검은 홍채, 하얀 결막을 가진 반빡이는 미소를 머물고 있는 눈동자보다 더 매력적인 눈동자는 없을 것이다.  

 

멋진 이성을 보았는데 눈이 마주치거나 그냥 눈으로 한번 쳐다만 보았는데 마음이 흔들리거나 빼앗겨 버리는 경험은 누구나 한번쯤 있다.

 

사람의 눈은 태생적으로 매우 착각을 잘하는 기관이고 멋진 이성을 보면 잠시 머리의 판단력이 혼미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광고에 등장하는 멋진 모델, 멋진 자동차, 멋진 이성 ... 등등 우리는 멋진 모습에 잠시 판단력이 흐려진다.

그래서 당장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사거나 그런 모델의 제품을 사거나 그런 분에게 지나친 친절을 나도 모르게 베풀지는 않았는지? 

 

그럼 귀도 비슷하게 배호님 노래 같은 멋진 노래를 들으면 마술에 빠지는 걸까?  

 

글쎄...판단력의 혼란은 아닌 것 같고 배호님의 매력적인 노래를 들으면 혼란스런 일상 생활의 조그마한 삶의 즐거움이 느껴진다.      

 

아래는 최초 러시아어로 된 가사와 이에 대한 영어 번역, 그리고 다시 개작된 러시아 가사에 대한 영어 번역이다.

(한글 가사는 저작권 등록은 되어 있지 않으나 주위에서 노래와 함께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생략)

 

 

러시아어 원래 가사

        영어 번역

수정된 가사 번역

1.
Очи черные, очи страстные
Очи жгучие и прекрасные
Как люблю я вас, как боюсь я вас
Знать, увидел вас я в недобрый час
 
2.
Ох, недаром вы глубины темней!
Вижу траур в вас по душе моей,
Вижу пламя в вас я победное:
Сожжено на нем сердце бедное.
 
3.
Но не грустен я, не печален я,
Утешительна мне судьба моя:
Всё, что лучшего в жизни бог дал нам,
В жертву отдал я огневым глазам!

1.
Dark eyes, passionate eyes
Burning and splendid eyes
How I love you, how I fear you
Verily, I espied you in an ill-starred moment
 
         
          2.
Oh, not for nothing are you darker than the deep!
I see mourning for my soul in you,
I see a triumphant flame in you:
A poor heart immolated in it.
 
 
3.
But I am not sad, I am not sorrowful,
My fate is soothing to me:
All that is best in life, God gave us.
In sacrifice I returned to the fiery eyes!

Dark eyes, burning eyes
Passionate and splendid eyes
How I love you, How I fear you
Verily, I saw you at a sinister hour

 

Dark eyes, flaming eyes
They implore me into faraway lands
Where love reigns, where peace reigns
Where there is no suffering, where war is forbidden

 

Dark eyes, burning eyes
Passionate and splendid eyes
I love you so, I fear you so
Verily, I saw you at a sinister hour

 

If I hadn't met you, I wouldn't be suffering so
I would have lived my life smiling
You have ruined me, dark eyes
You have taken my happiness away forever

 

Dark eyes, burning eyes
Passionate and splendid eyes
I love you so, I fear you so
Verily, I saw you at a sinister hour

 ♬ 오늘 듣고 싶은 배호의 노래 = 검은 눈동자

 

19

 

* 위 배경음악은 <다뉴브강>과 <죄많은 밤비>

 

* 참고: 다음(DAUM) 음악에는 배호님 <검은 눈동자> 노래 혹은 영어로된 <dark eyes> 노래가 올라와 있지 않다.